작성자 : DOSO마켓작성일: 2025-11-19 (마지막 수정일 : 2025-11-19)

나사철근이란? 정의부터 특징, 규격, 시공 활용 분야까지 한눈에 정리한 완벽 가이드

나사철근은 일반 철근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지만, 철근 표면에 나사산(thread) 형태의 가공이 되어 있어 빠르고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철근입니다.

예전에는 “로크볼트”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했지만, 현재는 “나사철근”이라는 명칭이 업계 전반에서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나사철근이란?

나사철근은 일반 철근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지만, 표면 전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절단 가공·나사 가공 없이 바로 현장에서 커플러만으로 체결할 수 있는 철근입니다. 이 구조적 특징 덕분에 시공성이 뛰어나고 작업 효율이 매우 높아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빠르게 보급되고 있습니다.

  • 전문 기술이 필요하지 않음
  • 추가 가공 작업 불필요
  • 적은 인원으로 시공 가능
  • 협소하거나 위험한 환경에서도 시공 가능

이러한 장점 덕분에 과거 록볼트용 가공철근의 사용이 많았던 현장들에서도 나사철근이 표준 자재처럼 사용되는 추세입니다.

나사철근의 주요 특징

1) 뛰어난 시공성

일반 철근은 절단, 결속, 용접 등 여러 공정이 필요하지만 나사철근은 커플러만 사용해 바로 연결할 수 있어 시공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이로 인해 공기 단축, 인건비 절감 효과가 큽니다.

2) 공간 제약이 적음

지하 구조물, 터널, 옹벽 등 장비 접근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설치가 쉽습니다. 협소한 굴착 공간에서도 빠르게 작업할 수 있어 실무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3) 높은 강도(SD400 기준)

대부분 SD400 기준으로 생산되며 항복강도 400~520MPa로 고강도가 필요한 구조물 시공에 적합합니다. 실제로 교량, 옹벽, 사면 보강, 터널 등 고하중 구조물에 널리 사용됩니다.

4) 길이 조절 및 체결 정확도 우수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 후 커플러로 바로 연결할 수 있어 정확한 시공이 가능합니다. 이는 공사 품질 향상과 시공 오류 감소로 이어집니다.

5) 우수한 안전성

체결 방식 자체가 인장·전단에 강해 진동이나 외력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입니다.

나사철근 규격 및 생산 정보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나사철근 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D19
  • D22
  • D25
  • D29
  • D32

주로 SD400 등급으로 생산되며, D25·D29 규격이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국내 주요 철강사(예: 동국제강 등)에서는 고강도 나사철근 및 다양한 길이·규격을 지원하고 있어 현장 요구사항에 맞춘 맞춤 생산이 가능합니다.

※ 나사철근은 주문 생산 방식이므로 실제 발주 시 아래 정보를 반드시 협의해야 합니다.

  • 규격(직경), 길이, 수량
  • 사용할 커플러와의 호환 여부
  • 나사산 가공 길이 및 깊이
  • 절단 방식(톱 절단 가능 여부)
  • 항복강도·인장강도 시험 성적서 제공 여부
  • 납기 일정 협의

나사철근 주요 용도

나사철근은 빠른 시공성과 강도가 필요한 곳에서 특히 많이 사용됩니다.

  1. 교량 공사
  2. 터널 보강 공사
  3. 옹벽 및 흙막이 구조물
  4. 사면 보강 공사
  5. 지하 구조물 시공
  6. 구조물 보수·보강 공사

특히 아래 공정에서 사용 비중이 높습니다.

  • 타이로드(흙막이 공사)
  • 띠장 설치
  • 록볼트 설치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정보

제조사마다 커플러 규격이나 나사 가공 방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동일 제조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스펙 차이로 인해 시공 중 혼용될 경우 체결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나사철근과 호환되는 다양한 부속품(커플러, 앵커 플레이트 등)이 개발되고 있어 시공 효율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나사철근 KS 규정 정리 (KS D 3504 기준)

나사철근은 일반 철근(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과 동일한 기준인 KS D 3504(2021 개정)을 적용받습니다. 이 규정은 철근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되는 열간 압연 방식의 원형봉강 및 이형봉강에 대한 품질 기준, 적용 범위, 종류 등을 명시하고 있어 나사철근을 발주하거나 현장에서 사용할 때 참고해야 할 중요한 기준입니다.

아래 표는 KS D 3504의 핵심 항목을 정리한 내용이며, 업계에서 사용되는 SD400·SD500 등급의 나사철근 규격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구 분 현 황
표준명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KS Code KS D 3504 (2021년 개정)
적용범위 철근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하는 봉강으로서 열간 압연으로 만든 원형봉강 및 이형봉강
종 류 (일반용) SD400, SD500

KS D 3504는 나사철근의 강도 기준과 품질 기준을 확인할 때 반드시 참고해야 하며, SD400과 SD500은 국내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일반용 철근 등급입니다. 특히 나사철근은 대부분 SD400 규격으로 생산되므로, 철근 선택 시 해당 KS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규정은 철근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길이 허용오차, 외관, 성분 기준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시공 품질 확보와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나사철근 화학성분 기준 (SD400 · SD500) (단위: %)

나사철근은 KS D 3504 기준에 따라 SD400과 SD500 등급별로 화학성분 허용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철근의 강도, 내구성, 용접성 등을 판단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철근 선택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 표는 SD400과 SD500 나사철근의 화학성분 규정값을 정리한 것으로, 각 성분의 최대 함유량을 기준(↓)으로 나타낸 KS 규격입니다.

강종 C Si Mn P S Cu N
SD400   0.60 ↓   0.45 ↓ 0.45 ↓    
SD500   0.60 ↓   0.40 ↓ 0.40 ↓    

SD400은 SD500에 비해 P(인), S(황)의 허용치가 조금 더 높은 편이며, 이는 SD400이 일반 구조물에 적합한 강도 등급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반면 SD500은 더 높은 강도 등급을 요구하기 때문에 불순물(P, S) 허용치가 더 엄격하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나사철근을 발주하거나 설계에 반영할 때는 반드시 해당 화학성분 기준을 충족하는지 시험성적서를 통해 확인해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나사철근의 기계적 성질 (SD400 · SD500)

나사철근은 KS D 3504 기준에 따라 강종별 기계적 성질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는 구조적 안정성과 직결되는 핵심 성능이기 때문에 건설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아래 표는 SD400과 SD500 나사철근의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 기준을 정리한 것으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나사철근의 품질 확인에 반드시 참고해야 할 자료입니다.

강종 항복점/항복강도
(N/mm²)
인장강도 (N/mm²) 비 고
SD400 400 ~ 520 460 ~ 598 항복점의 1.15배 ↑
SD500 500 ~ 650 540 ~ 702 항복점의 1.08배 ↑

SD400은 일반 구조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등급으로, 항복강도와 인장강도의 균형이 뛰어나 시공성과 안전성을 모두 만족시킵니다.

SD500은 SD400보다 더 높은 항복강도 범위를 가지며 고하중 구조물 또는 추가적인 강도가 요구되는 구조물에 적합합니다. 인장강도 역시 SD400 대비 높아 내진 및 고강도 요구 조건에 유리합니다.

특히 “인장강도 ≥ 항복강도 × 규정 배수” 조건은 철근의 연성·변형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구조물이 충격이나 지진 같은 외력 상황에서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나사철근 규격 · 길이 · 포장단위 · 단가기준 정리

나사철근은 현장에서 필요한 규격과 길이, 포장 방식, 단가 책정 기준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발주 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아래 표는 실제 유통되는 나사철근의 규격 및 기본 제공 조건을 기반으로 정리된 내용입니다.

구 분 현 황
Size D 19mm, D 22mm, D 25mm, D 29mm, D 32mm
길 이 8m (대표길이), 10m, 12m
포장단위 기본 2 Ton Bundle 단위 포장
단가기준 D 25mm (SD400) kg당 단가를 Base로 설정 (별도협의 필요)

실제 발주 시에는 규격, 길이, 포장 단위뿐 아니라 현장 운반 조건·납기 일정·수급 가능 물량 등을 함께 확인해야 정확한 견적 산출이 가능합니다.

D25와 D29 규격은 가장 수요가 많은 규격으로 단가 기준 또한 D25(SD400)를 베이스로 산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필요 시 규격별 단가 조정과 맞춤 생산 협의가 가능하므로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제조사 또는 공급사와 세부 조율이 필수적입니다.

나사철근 규격 및 단위중량표 (호칭치수별 단면적·중량 정리)

나사철근은 호칭치수(Diameter)에 따라 단면적, 단위중량, 생산 가능 규격이 세부적으로 구분됩니다. 이는 설계 시 정확한 중량 산출 및 견적 계산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발주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기준 데이터입니다.

아래 표는 실제 KS 기준 및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한 나사철근 호칭치수별 단면적, 단위중량, 생산 가능 여부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호칭치수
(mm)
단면적
(㎠)
단위중량
(kg/m)
생산 가능규격 비고
D 4 14.05 0.110    
D 5 21.98 0.173    
D 6 31.67 0.249    
D 8 49.51 0.389    
D 10 71.33 0.560    
D 13 126.7 0.995    
D 16 198.6 1.560    
D 19 286.5 2.250 주문 (별도협의)
D 22 387.1 3.040 주문 (별도협의)
D 25 506.7 3.980 주문
D 29 642.4 5.040 주문
D 32 794.2 6.230 주문 (별도협의)
D 35 956.6 7.510    
D 38 1140 8.950    
D 41 1340 10.50    
D 43 1452 11.40    
D 51 2027 15.90    
D 57 2579 20.30    

D25와 D29 규격은 수요가 매우 높은 대표 규격으로, 나사철근 생산 시 가장 일반적으로 취급되는 규격입니다. 대부분 주문 생산 방식이기 때문에 프로젝트별 요구 조건에 맞춰 협의 후 제작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단위중량(kg/m) 수치는 철근 중량 계산, 견적 산출, 운반 비용 계산 등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므로 설계 단계에서 반드시 활용해야 하는 핵심 정보입니다.

#나사철근 #SD400 #철근시공 #커플러 #토목자재 #건축자재 #옹벽공사 #터널공사 #타이로드 #록볼트 #사면보강 #지하구조물 #도소마켓

📝견적 받아보기

clip첨부파일

나사철근.xlsx0.02MB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