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플레이트(Steel Decks)란? 정의부터 종류, 시공방법, 장점까지 완벽 정리
데크플레이트(Steel Decks)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슬라브 시공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자재입니다. 쉽게 말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거푸집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철판입니다.

즉, 기존의 합판 거푸집 대신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시공 효율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데크플레이트는 콘크리트 타설 전, 철판 형태의 판재를 바닥 구조물 위에 미리 설치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하중을 지지합니다. 이 덕분에 목재 거푸집을 반복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기 단축과 비용 절감 효과가 큽니다.
데크플레이트의 종류

- 일반형(거푸집용)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까지만 하중을 지지하는 형태입니다. 콘크리트 타설 후에는 구조적인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 구조용 데크플레이트
콘크리트와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화되어 합성 구조물로 작용합니다. 완성 후에도 바닥 하중을 일부 분담하기 때문에 슬라브 두께를 줄일 수 있고 경제적입니다.
- 레미콘 타설용 거푸집형 데크플레이트
물과 혼합된 콘크리트를 하중이 가할 때까지 안정적으로 지탱하며 처짐을 최소화하는 형태입니다.
데크플레이트의 단면 형태

- 골형(Trapezoidal Type)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강판 표면에 골이 있어 구조적 강성을 확보합니다. 상부 철근과 결합 시 하중 분산 효과가 뛰어납니다.
- 평형(Flat Type)
하부가 매끄러워 노출 천장 등 미관이 중요한 구조물에 사용됩니다.
- 철근트러스형(Rebar Truss Type)
강판 위에 철근 트러스가 용접되어 있어, 슬라브와 일체화된 구조적 내하력을 가집니다. 콘크리트와 강재가 완전히 합성되어 슬라브 두께를 줄이면서도 강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주로 고층 건물, 대형 물류센터, 주차장, 산업시설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데크플레이트 시공 장점
- 공기 단축
기존 현장 거푸집 공사 대비 약 20~25% 공기 단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표준화된 강판으로 제작되어 정확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합니다.
- 작업 인력 절감
목재 거푸집처럼 해체나 재설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인력 투입이 줄어듭니다.
- 현장 정리 용이성
불필요한 자재와 폐기물이 줄어 현장이 깔끔해집니다.
- 안전성 향상
미끄럼 방지 패턴이 적용된 데크플레이트는 작업자 안전에도 유리합니다.
- 구조적 내구성
철강재를 사용해 변형이나 처짐이 적고 장기 내하력 우수합니다.
데크플레이트의 실제 활용 예

- 아파트, 오피스, 공장 등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공사
- 대형 창고, 주차장, 물류센터와 같은 장스팬(긴 거리) 구조물의 바닥 시공
- 옥상층, 지하층 바닥 등 복합하중이 걸리는 구간
데크플레이트 제작 재질

데크플레이트는 대부분 용융아연도금강판(GI판) 으로 제작됩니다. 이는 부식에 강하고 내식성이 뛰어나, 콘크리트와의 부착력도 우수합니다. 또한 표면에 엠보싱(Embossing) 무늬를 넣어 콘크리트와의 일체화 성능을 높입니다.
데크플레이트 시공 시 주의사항

- 시공 전 반드시 수평 및 구조 안전성을 점검해야 합니다.
- 콘크리트 타설 시 과도한 진동이나 충격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골 방향과 철근 배근 방향을 일치시켜야 구조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데크플레이트의 주요 장점 요약
- 공기 단축 (약 20~25%)
- 인건비 절감
- 현장 정리 용이
- 안전한 작업 환경
- 구조적 내구성 우수
- 미려한 하부 마감 가능
마무리
데크플레이트는 단순한 철판이 아닌, 콘크리트 구조의 안전성과 시공 효율을 결정짓는 핵심 자재입니다. 표준화된 시공 방식과 정확한 품질 관리가 병행될 때, 더욱 견고하고 경제적인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고층화·대형화되는 건축 트렌드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 효율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자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재활용이 가능해 친환경 건축자재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데크플레이트 KS규정 (KS D 3602 기준 정리)
데크플레이트(Steel Decks)는 국내에서 KS D 3602 규격에 따라 품질과 성능이 표준화되어 있습니다. 이 규정은 건축물, 토목 구조물, 차량 등 다양한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강제 갑판(데크플레이트)의 재질, 형태, 적용 범위 등을 정의합니다. 특히 2015년에 개정된 KS D 3602는 냉간 성형 강판의 기계적 성질과 제조 공정을 명확히 규정하여, 시공 품질의 균일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구 분 | 현 황 |
|---|---|
| 표준명 | 강제 갑판 (Steel Decks) |
| KS Code | KS D 3602 (2015년 개정) |
| 적용범위 | 건축, 토목, 차량, 그 밖의 구조물에 사용하는 냉간 성형한 강제갑판 |
| 종 류 | SDP 1 (SPHC), SDP 2 (SS400), SDP 3, SDP 1G, SDP 2G, SDP 1GAM, SDP 2GAM |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데크플레이트는 냉간 성형 방식으로 제작된 강판으로, 주요 강종은 SPHC와 SS400이며, 용도 및 구조적 요구에 따라 SDP 1, 2, 3, G, GAM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분됩니다. 특히 SDP 1GAM, SDP 2GAM은 내식성과 접착성이 강화된 고성능 제품으로, 내구성이 중요한 대형 구조물이나 외부 노출부에 적합합니다.
또한 KS D 3602 규격은 강판의 두께, 폭, 인장강도, 항복강도 등 물리적 성질을 포함해 제조 공정에서의 냉간 가공 정도와 품질 검사 기준까지 상세히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데크플레이트의 일관된 성능 확보와 안전한 구조물 시공을 위한 필수적인 기준입니다.
데크플레이트의 모양 및 치수의 허용차
데크플레이트의 제작 및 시공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KS D 3602에서는 각 항목별 허용차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높이, 나비, 두께, 길이 등의 허용 오차 범위를 나타내며, 이는 실제 시공 시 품질 검증의 기준이 됩니다.
기본 항목 허용차 (단위: mm)
| 항목 | 허용차 |
|---|---|
| 높이 (H) | ± 1.5 |
| 나비 (W) | ± 5 |
| 나비 (W₀) | (–)2 ~ (+)8 |
원판의 종류 및 표시 두께
| 종류 | 관련 KS규격 | 세부 분류 |
|---|---|---|
| SDP 1 | KSD 3501 (SHP 1) | 일반강판 |
| KSD 3512 (SCP 1) | 냉연강판 | |
| SDP 2 | - | - |
| SDP 3 | KSD 3542 | SPA-H (고내식강), SPA-C |
| SDP 1G / 2G / 1GAM / 2GAM | - | SDP1 또는 SDP2 허용차에 ±0.02 더함 |
평판부분의 두께(t) 허용차
| 두께 (t, mm) | SDP 1 (SHP 1) | SDP 1 (SCP 1) | SDP 2 | SDP 3 (SPA-H) | SDP 3 (SPA-C) |
|---|---|---|---|---|---|
| 0.8 | - | ±0.09 | - | ±0.20 | ±0.09 |
| 1.0 | - | ±0.10 | - | ±0.20 | ±0.10 |
| 1.2 | ±0.16 | ±0.10 | ±0.20 | ±0.20 | ±0.10 |
| 1.4~1.5 | ±0.17 | ±0.12 | ±0.22 | ±0.22 | ±0.12 |
| 1.6 | ±0.20 | ±0.14 | ±0.25 | ±0.25 | ±0.14 |
| 2.3 | ±0.23 | ±0.16 | ±0.28 | ±0.28 | ±0.16 |
| 2.7 | ±0.27 | ±0.18 | ±0.32 | ±0.32 | - |
| 3.2 | ±0.31 | ±0.20 | ±0.35 | ±0.35 | - |
| 4.0~4.5 | ±0.35 | - | ±0.50 | ±0.50 | - |
| 6.0 | ±0.50 | - | ±0.60 | ±0.60 | - |
길이 허용차
| 구분 | 허용차 |
|---|---|
| 7 m 이하 | 0 ~ (+)40 |
| 7 m 초과 | 길이 1m 증가 시마다 위 플러스 쪽 허용차에 5mm 추가 |
횡곡 허용차
| 구분 | 허용 기준 |
|---|---|
| 평판부분의 길이방향 횡곡 | 전 길이의 0.2% 이하 |
위의 규정은 KS D 3602에 근거한 기준으로, 각 제품의 기하학적 정확도와 생산 공정의 품질을 평가할 때 반드시 준수되어야 합니다. 특히 두께(t) 허용차는 제품의 강도 및 내하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시공 전 검수 과정에서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허용차 규정은 건축물의 구조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품질 관리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데크플레이트 규격표 (Specification)
데크플레이트는 구조적 하중, 시공 조건, 슬라브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됩니다. 아래 표는 KS D 3602 기준에 따라 대표적인 규격(Type)과 두께(mm), 그리고 사용 재질(Material)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각 규격은 적용 부위 및 하중 조건에 따라 선택되며, 설계 시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합니다.
| 구분 | 규격 |
|---|---|
| 규격 | 600 x 75 Type (ALK12 - 1.2mm) |
| 600 x 75 Type (ALK16 - 1.6mm) | |
| 600 x 75 Type (ALK23 - 2.3mm) | |
| 614 x 50 Type (ALB12 - 1.2mm) | |
| 614 x 50 Type (ALB16 - 1.6mm) | |
| 660 x 50 Type (AL12 - 1.2mm) | |
| 660 x 50 Type (AL16 - 1.6mm) | |
| 690 x 75 Type (ALK12 - 1.2mm) | |
| 690 x 75 Type (ALK16 - 1.6mm) | |
| 690 x 75 Type (ALK23 - 2.3mm) | |
| 재질 | SCP 1 |
| SHP 1 | |
| GI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데크플레이트 규격은 주로 폭(W)과 높이(H), 그리고 두께(t)로 구분되며, 각각의 타입은 구조적 하중 조건에 따라 선택됩니다. 예를 들어, ALK12, ALK16, ALK23은 각각 1.2mm, 1.6mm, 2.3mm 두께를 의미하며, 구조용 혹은 거푸집용 등 목적에 따라 적용됩니다.
재질(SCP1, SHP1, GI)은 내식성과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일반적으로 SCP 1은 냉연강판, SHP 1은 열연강판, GI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의미합니다. GI 재질은 부식 방지와 콘크리트 접착성이 뛰어나 데크플레이트 제작에 널리 사용됩니다.
모든 규격은 KS D 3602 기준에 따라 제작되며, 설계 조건(슬라브 두께, 스팬 길이, 하중 분포)에 따라 최적의 규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시공 효율성을 높이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데크플레이트 #SteelDeck #철근콘크리트 #건축자재 #슬라브시공 #거푸집대체 #건축현장 #시공효율 #건축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