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란? 건축자재의 혁신, 특징부터 장단점과 시장 동향까지 총정리
FRP는 영어로 ‘Fiber Reinforced Plastic’의 약자로, 유리섬유(Fiber)를 주재료로 하여 플라스틱(Resin)과 결합해 만든 복합 소재입니다.

국내에서는 ‘강화플라스틱’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불리며, 건설, 산업, 자동차, 환경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금속, 목재, 콘크리트를 대체하는 혁신적인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FRP의 정의와 원리

FRP는 플라스틱의 가공성과 유리섬유의 강도·내구성이 결합된 복합소재입니다. 이 두 재료의 장점을 결합하여 가볍고 튼튼하며 부식에 강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유리섬유: 인장강도가 높고 가벼워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
- 수지(플라스틱 매트릭스): 내식성, 내열성, 자유로운 성형 가능
이러한 조합 덕분에 FRP는 항공기, 선박, 교량, 건축 내외장재 등에서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2. FRP의 주요 장점
- 내식성: 산성, 알칼리성 등 극한 환경에서도 쉽게 부식되지 않아 하수처리장, 해양 구조물, 공조 시스템에 적합
- 경량성: 금속 대비 무게가 가볍지만 강도는 높아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
- 강도: 인장 및 굽힘 강도가 뛰어나 외부 충격에도 강함
- 설계 유연성: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맞춤 제작 가능
- 비용 효율성: 내구성이 좋아 장기적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듦
- 친환경성: 재활용이 가능하며, 생산 시 탄소 배출량이 적음
- 절연·내후성: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고 자외선, 우천, 극한 온도에도 성능 유지
특히, 철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비금속 재료로서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닷가나 화학 플랜트처럼 부식 위험이 큰 환경에서 큰 장점을 발휘합니다.
3. FRP의 단점
- 자외선 노출 시: 장시간 노출되면 색상 변색이나 미세 강도 저하 가능
- 단가: 일반 플라스틱 대비 원자재 및 제작 단가가 다소 높음
- 충격 취약성: 일부 제품은 충격에 약할 수 있으나, 설계·제조 품질에 따라 개선 가능
이러한 단점들은 최근 UV 차단 코팅 기술과 열경화성 수지 강화 기술을 통해 보완되고 있습니다.
4. FRP의 산업별 주요 활용 분야

FRP는 다양한 산업에서 기존 소재를 대체하며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건축 분야: FRP 판넬, 창호재, 데크, 지붕재 등
- 환경 설비: 하수처리장, 송풍/덕트 설비, 수처리 탱크
- 교통 산업: 자동차 내·외장재, 전기차 경량 부품
- 해양 및 플랜트: 방파제, 파이프, 선박 구조 부품
- 기타 산업: 항공기, 가전제품, 산업용 안전장치
특히 FRP 철근(GFRP Rebar)은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부식되지 않아 해안이나 교량, 지하 구조물 등 장수명 인프라 구축에 적합합니다.
5. FRP 최신 시장 동향 및 기술 발전
최근 건설업계에서는 FRP 철근(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이 기존 철근을 대체할 수 있는 핵심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부식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면서 경량화, 유지관리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합니다.
또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과 함께 고강도·초경량 복합소재로 분류되어 자동차, 항공, 플랜트 산업에서의 적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 자동화 성형 기술 발전으로 생산 비용 절감
- 친환경 건축 소재 트렌드에 부합
- R&D를 통한 내열성·내충격성 개선
- 국내외 인증 확대 (예: ASTM, KS, ISO 등)
2025년 기준 글로벌 FRP 시장은 연평균 5~7%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건축 및 인프라 분야의 친환경 전환에 따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6. FRP 선택 시 체크포인트
- 적용 환경: 극한환경, 부식환경, 내구성 요구 여부
- 예산: 초기 단가는 높지만 장기적으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가능
- 시공 편의성: 현장 맞춤형 제작 가능 여부
- 국내 인증 여부: KS 또는 품질 인증 확인
- 공급사 신뢰도: 납기, A/S 체계 등 확인
이 항목들을 고려하면, 프로젝트 목적에 가장 적합한 FRP 자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FRP는 경량성, 내식성, 강도, 친환경성 등 다방면의 장점을 가진 차세대 건축소재입니다. 특히 유지관리비 절감과 긴 수명 덕분에 경제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건축 시장에서 FRP는 혁신과 효율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소재가 될 것입니다.
FRP KS 규정 (KS M 3305:2019)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제조 및 사용에 관한 국내 품질 표준은 KS M 3305 (2019년 개정) 규정에 따라 관리됩니다. 본 규정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사용되는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Liqui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의 품질, 적용범위, 종류 등을 명확히 정의하고 있으며, 건축·산업·환경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 구분 | 현황 |
|---|---|
| 표준명 | 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Liqui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for Fiber Reinforced Plastics) |
| KS Code | KS M 3305 (2019년 개정) |
| 적용범위 |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사용하는 주형판 및 적층판의 제작이 가능한 액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
| 종류 | 표준형 (UP-G) 특수형: 내열 (UP-HM, UP-HE), 내약품 (UP-CM, UP-CE, UP-CEE), 내연 (UP-SM, UP-SE), 연질 (UP-F) |
이 KS 표준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 Resin)의 화학적 내구성과 기계적 성능을 기준으로 분류하며, 제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특수형으로 세분화됩니다. 예를 들어, UP-HM 및 UP-HE는 고온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내열형이며, UP-CM, UP-CE, UP-CEE는 화학적 내식성이 우수해 산업 설비나 화학 플랜트용으로 적합합니다. 또한, UP-SM, UP-SE는 내연성이 뛰어나 화재 안전이 중요한 시설에 사용되며, UP-F는 유연성이 필요한 구조물 제작에 활용됩니다.
KS M 3305는 제품의 제조 품질뿐 아니라, 성형성, 내열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등 성능 평가 기준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내 FRP 자재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기술적 근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FRP 주형판 및 적층판의 품질기준 (KS M 3305)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자재는 사용 용도에 따라 주형판(Forming Plate)과 적층판(Laminated Plate)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품질기준은 KS M 3305 규정에 따라 엄격히 관리됩니다. 아래 표는 각 재질별, 시험항목별 품질 기준을 명확히 나타낸 것입니다.
◆ 주형판의 품질기준
| 시험 항목 | UP-G | UP-HM | UP-HE | UP-CM | UP-CE | UP-CEE | UP-SM | UP-SE | UP-F |
|---|---|---|---|---|---|---|---|---|---|
| 바콜 경도 | 35 ↑ | 40 ↑ | 40 ↑ | 35 ↑ | 35 ↑ | 35 ↑ | 35 ↑ | 35 ↑ | - |
| 흡수율 (%) | 0.3 ↓ | 0.3 ↓ | 0.3 ↓ | 0.3 ↓ | 0.3 ↓ | 0.3 ↓ | 0.5 ↓ | 0.5 ↓ | 2.0 ↓ |
| 끓임 흡수율 (%) | - | - | - | 0.7 ↓ | 0.5 ↓ | 0.5 ↓ | - | - | - |
| 하중변형온도 (℃) | 60 ↑ | 90 ↑ | 110 ↑ | (80 ↑) | (100 ↑) | (100 ↑) | - | - | - |
| 내알칼리성 | - | - | - | 10 Hr | 50 Hr | 100 Hr | - | - | - |
| 내연성 | - | - | - | - | - | - | 자기 소화성 | 난연성 | - |
| 인장신장율 | - | - | - | - | - | - | - | - | 10 ↑ |
위 표는 주형판의 각 재질별 물리적·기계적 특성을 나타냅니다. UP-HM, UP-HE는 고온 변형에 강하며, UP-CEE는 내알칼리성 시간이 100시간 이상으로 내화학성이 우수합니다. UP-SM, UP-SE는 내연성이 강화된 자기소화성, 난연성 재질로 화재 위험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합니다.
◆ 적층판의 품질기준
| 시험 항목 | 표준 | 습윤 |
|---|---|---|
| 바콜 경도 | 50 ↑ | - |
| 휨 강도 (Mpa) | 340 ↑ | 310 ↑ |
| 휨 탄성률 (Gpa) | 18.0 ↑ | 17.0 ↑ |
| 인장 강도 (Mpa) | 270 ↑ | - |
| 압축 강도 (Mpa) | 230 ↑ | 200 ↑ |
적층판은 FRP 제품 중에서도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이 중요한 분야에 적용됩니다. 표준상태에서 휨 강도 340MPa 이상, 인장 강도 270MPa 이상의 높은 기계적 성능을 보여주며, 습윤상태에서도 우수한 내수성과 강도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적층판은 수처리 시설, 화학 플랜트, 선박 구조물, 건축 외장재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KS M 3305의 품질기준은 FRP 자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표준으로, 제조사는 이 기준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고 품질을 관리해야 합니다.
FRP 규격 및 제품 사양표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는 다양한 두께, 폭, 길이, 종류 및 색상으로 생산되어 건축 및 산업현장의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FRP 판넬 및 시트의 규격을 정리한 것으로, 제품 선택 시 참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양입니다.
| 품목명 | 규격 구분 | 규격 |
|---|---|---|
| FRP | 사이즈(두께x폭) | 0.8mm x 700mm |
| FRP | 사이즈(두께x폭) | 0.8mm x 760mm |
| FRP | 사이즈(두께x폭) | 1.0mm x 850mm |
| FRP | 사이즈(두께x폭) | 1.0mm x 900mm |
| FRP | 사이즈(두께x폭) | 1.0mm x 930mm |
| FRP | 사이즈(두께x폭) | 1.0mm x 1000mm |
| FRP | 사이즈(두께x폭) | 1.5mm x 1000mm |
| FRP | 사이즈(두께x폭) | 2.0mm x 900mm |
| FRP | 길이(m) | 1 |
| FRP | 길이(m) | 2 |
| FRP | 길이(m) | 3 |
| FRP | 길이(m) | 4 |
| FRP | 길이(m) | 5 |
| FRP | 길이(m) | 6 |
| FRP | 길이(m) | 7 |
| FRP | 길이(m) | 8 |
| FRP | 길이(m) | 9 |
| FRP | 길이(m) | 10 |
| FRP | 종류 | V-76 |
| FRP | 종류 | V-115 |
| FRP | 종류 | V-195 |
| FRP | 종류 | V-200 |
| FRP | 종류 | V-220 |
| FRP | 종류 | V-250 |
| FRP | 종류 | C-32 |
| FRP | 종류 | C-63 |
| FRP | 종류 | C-76 |
| FRP | 종류 | C-76L |
| FRP | 종류 | C-130 |
| FRP | 종류 | R-335 |
| FRP | 종류 | RA-180 |
| FRP | 종류 | RP-333 |
| FRP | 종류 | S-250 |
| FRP | 종류 | SR-102 |
| FRP | 종류 | TS-250 |
| FRP | 종류 | 평판 |
| FRP | 재질 | FRP |
| FRP | 색상 | 투명 |
| FRP | 색상 | 청색 |
| FRP | 색상 | 오렌지색 |
| FRP | 색상 | 노란색 |
| FRP | 색상 | 실버 |
| FRP | 색상 | 다크그레이 |
| FRP | 색상 | 적색 |
FRP 판넬은 두께 0.8mm~2.0mm, 폭 700mm~1000mm, 길이 1m~10m까지 다양한 규격으로 생산됩니다. 또한 V형, C형, R형 등 다양한 파형 종류와 색상 옵션(투명, 청색, 오렌지색, 노란색, 실버, 다크그레이, 적색)을 제공하여 건축물의 외장재, 지붕재, 채광창 등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FRP 제품은 내식성, 내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광투과형(채광용), 불연형(난연성 강화), 구조용(고강도형) 등으로 세분화되어 산업 플랜트, 농업시설, 공장, 창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FRP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건축자재 #강화플라스틱 #FRP판넬 #FRP철근 #친환경소재 #경량자재 #내식성 #산업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