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열페인트와 내화페인트란? 개념, 차이점, 적용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
건축 현장이나 기계 설비를 관리하다 보면, 고온 환경에서도 성능을 유지해야 하는 특수 도료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내열페인트와 내화페인트입니다. 두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적용 목적과 성능은 크게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의 정의, 차이점,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기준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내열페인트란?
내열페인트는 말 그대로 고온 환경에서도 변색이나 도막 손상 없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페인트를 의미합니다. 일반 페인트는 열에 의해 쉽게 변색되거나 벗겨지지만, 내열페인트는 200℃ ~ 600℃의 범위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능을 유지합니다.
주로 사용되는 곳
- 보일러, 파이프라인, 난방기구(화목난로)
- 산업용 배관, 고온 장비 표면
- 자동차 머플러, 플랜트 설비
또한 내열페인트는 내화학성이 뛰어나며 부식을 방지해주기 때문에 화학물질이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적합합니다. 단, 가격이 일반 페인트보다 높고 시공 과정도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내열페인트의 종류
- 실리콘계 내열페인트 – 약 600℃까지 견딜 수 있으며, 파이프라인, 배관, 플랜트 설비에 적합
- 알루미늄계 내열페인트 – 약 300℃까지 견디며, 보일러, 난방기구, 배기관 등에 사용
- 무기질 내열페인트(락카형 포함) – 일부 제품은 800℃ 이상 견딜 수 있어 고온 산업 현장에서 사용
내화페인트란?
내화페인트는 단순히 고온에 견디는 수준이 아니라, 화재 발생 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일정 시간 확보하기 위한 페인트입니다. 즉, 내열성과는 달리 구조물의 붕괴를 막는 것이 핵심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 시 철강재는 약 500℃ 이상에서 강도가 급격히 약화되어 붕괴 위험이 커집니다. 내화페인트를 도포하면 일정 시간 동안 열 전달을 지연시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곳
- 철골 구조 건축물
- 콘크리트 보강재
- 대형 공장 및 플랜트 설비 구조체
내열페인트와 내화페인트의 차이
구분 | 내열페인트 | 내화페인트 |
---|---|---|
목적 | 고온에서도 도막 변색, 부식 방지 | 화재 시 구조물 붕괴 방지 |
적용 온도 | 200℃ ~ 800℃ | 화재 기준 온도 (약 1,000℃ 이상) |
국내 기준 | KSM6080 | KSF2257 |
사용처 | 보일러, 난방기구, 산업 배관 | 철골 구조, 콘크리트 보강재 |
즉, 내열페인트는 표면 보호에, 내화페인트는 구조 안전성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점
국내 인증 기준
- 내열페인트: KSM6080
- 내화페인트: KSF2257
이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만 사용해야 안전성과 성능이 확보됩니다.
시공 방법
- 내열페인트: 샌드블라스트 등 표면처리 후 도포 필요
- 내화페인트: 두껍게 도장해야 하며 전문 시공업체의 작업 필수
가격 차이
- 내열페인트: 일반 페인트보다 비쌈
- 내화페인트: 내열페인트보다 더 고가, 공사비도 추가됨
정리
- 내열페인트: 고온 환경에서도 도막 유지, 주로 표면 보호
- 내화페인트: 화재 시 구조체 보호, 건축물 안전 확보
따라서 사용하는 목적과 환경에 맞춰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열페인트 KS 규정 및 적용 기준 정리
내열페인트는 고온 환경에서도 도막이 변색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설계된 특수 도료로, 국내에서는 KS M 6080 규격을 통해 시험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해당 규격은 2022년에 개정되었으며, 교통 표지용 도료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적용됩니다. 아래 표를 통해 KS 규정과 적용 범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분 | 현황 |
---|---|
표준명 | 노면 표지용 도료 (Road Marking Materials)의 시험기준 적용 |
KS Code | KS M 6080 (2022년 개정) |
적용범위 | 교통 표지선을 그리는데 사용하는 도료로써 안료, 수지, 유리알, 충전용 재료 등을 원료로 사용한 노면 표지용 도료 |
종류 |
|
위 규정은 단순히 내열 성능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도료가 교통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만큼 시인성, 내구성, 접착성 등도 함께 검토됩니다. 따라서 건설 현장이나 교통 시설에서 내열페인트를 적용할 때는 반드시 KS M 6080 인증을 충족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열페인트 품질 기준 상세 정리
내열페인트는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해야 하기 때문에 엄격한 품질 기준이 적용됩니다. KS M 6080 규격에 따라 일반 도료의 1종, 2종, 3종으로 구분되며, 각 항목별 성능 지표가 세부적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아래 표는 내열페인트의 주요 품질 기준을 정리한 것입니다.
항목 | 일반 도료의 종류 | ||||
---|---|---|---|---|---|
1종 | 2종 | 3종 | |||
주도 (K.U.) | 80 ~ 130 | 80 ~ 120 | 80 ~ 130 | ||
은폐율 (%) | 흰색 | 95 ↑ | |||
노란색 | 90 ↑ | ||||
블리딩성 | 아스팔트 판위에 칠했을때 블리딩이 없어야 한다 | ||||
내마모성 | 마모감량이 100회전에 대하여 500mg이하 |
- | 마모감량이 100회전에 대하여 500mg이하 |
||
휘도율 | UV 노화전 (β) |
흰색 | 0.80 ↑ | ||
노란색 | 0.40 ↑ | ||||
UV 노화후 (△β) |
흰색 | 0.05 ↑ | |||
노란색 | 0.05 ↑ | ||||
내수성 | 물에 24시간 침지시켰을때 갈라짐, 부풂,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 ||||
비휘발분 (도료 중의 %) | 60 ↑ | 55 ↑ | 65 ↑ | ||
내세척성 | - | 800회 이상 | - | ||
납 (비휘발분 중 %) | 0.06 ↓ | ||||
카드뮴 (비휘발분 중 %) | 0.01 ↓ | ||||
휘발성 유기 화합물 함량 (g/L) | 400 ↓ | 170 ↓ | 400 ↓ |
이 기준은 내열페인트가 단순히 열에 견디는 것뿐만 아니라, 내구성, 안전성, 친환경성까지 충족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특히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함량과 납, 카드뮴 등 유해물질 기준은 환경 규제와 직결되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내열페인트 규격 및 종류별 분류
내열페인트는 적용 온도와 성분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사용 환경이 달라집니다. 특히 산업 현장이나 건축 구조물에서는 온도 조건에 맞는 내열페인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표는 내열페인트의 주요 규격과 종류를 정리한 것입니다.
품목명 | 종류 |
---|---|
내열페인트 | 알루미늄계 내열페인트 (300℃ 이하) |
내열페인트 | 실리콘계 내열페인트 (600℃ 이하) |
내열페인트 | 무기질 내열페인트 |
내열페인트 | 초고온 내열코팅제 (800℃) |
알루미늄계 내열페인트는 보일러, 난방기구, 배기관 등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장비에 적합하며, 실리콘계 내열페인트는 플랜트 설비와 같이 고온(600℃ 이하)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무기질 내열페인트는 내구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 산업 현장에서 널리 쓰이고, 초고온 내열코팅제는 800℃ 수준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합니다.
#내열페인트 #내화페인트 #건축자재 #도료 #방화도료 #고온페인트 #보일러페인트 #철골구조 #건축안전 #페인트종류 #건축소재 #도장작업 #산업자재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