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DOSO마켓작성일: 2025-08-26 (마지막 수정일 : 2025-08-26)

전돌이란? 특징, 장단점, 한옥 및 전통 건축에서의 활용까지 한눈에

전돌은 한옥이나 전통 건축물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자재 중 하나입니다. 흔히 붉은벽돌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색상과 쓰임새를 가진 전통 건축 자재입니다. 오늘은 전돌의 기본 개념과 제작 방식, 주요 특징, 장단점, 관리 방법, 그리고 한옥과 현대 건축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전돌의 기본 개념과 제작 방식

전돌은 일반 시멘트 벽돌과 달리 붉은벽돌 표면에 유약을 입히거나 착색 과정을 거쳐 만든 전통 벽돌입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표면이 매끄럽고 은은한 색감을 가지게 되며, 고급스러운 외관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색상은 붉은색이지만, 흑색·회색·은빛 등 다양한 전돌도 존재합니다.

  • 유약 처리로 고급스러운 질감
  • 다양한 색상 선택 가능
  • 전통과 현대 모두 어울리는 자재

전돌의 주요 특징

  1. 유약 코팅 : 표면이 매끄럽지만 관리가 소홀하면 쉽게 벗겨질 수 있어 주기적인 관리 필요
  2. 고급 외관 : 한옥뿐 아니라 고급 주택, 전통 양식 건물에 적합
  3. 내구성 : 잘 시공하면 수십 년 이상 사용 가능
  4. 단열 및 방음 효과 : 두께와 구조 덕분에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 환경 유지

전돌의 장점

  • 전통적 미관 : 붉은빛과 질감이 한옥 특유의 멋을 강화
  • 건축 연결 효과 : 기와, 목재, 돌과 자연스럽게 조화
  • 품격 상승 : 단순한 외장재가 아닌 한옥의 위엄을 상징
  • 다양한 활용도 : 담장, 대문 기초, 외벽, 문화재 복원 등에 사용

전돌의 단점과 주의사항

  • 표면 유약이 벗겨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점검 필요
  • 흡수율이 높아 습기에 약하므로 방수 및 배수 관리 필수
  • 가격이 일반 벽돌보다 높아 초기 비용이 부담될 수 있음

전돌의 주요 활용 분야

  • 한옥 담장 : 전통적인 분위기 극대화
  • 대문 및 문주(門柱) : 집의 품격을 높이는 장식 요소
  • 한옥 외벽 : 기와와 조화를 이루며 고급스러움 연출
  • 문화재 복원 : 원형 보존을 위해 전통 그대로 사용
  • 장식적 활용 : 문양을 새겨 예술적 가치 추가

전돌 관리 방법

  1. 강한 세제보다는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청소
  2. 외부 습기와 빗물에 장기간 노출되지 않도록 배수와 통풍 관리
  3. 균열이나 유약 벗겨짐이 보이면 즉시 보수

전돌과 현대 건축의 접목

최근에는 한옥뿐만 아니라 현대식 건물에서도 전돌의 활용이 늘고 있습니다. 카페, 갤러리, 전통 체험관 등에서 전통미와 현대적 감각을 동시에 담아내는 건축 자재로 선택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과거의 재현을 넘어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건축 트렌드라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전돌은 단순한 건축 자재가 아니라 한국의 건축미와 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한옥 담장부터 현대 건축물까지 다양하게 활용되며, 우리의 전통과 멋을 이어가는 자재라 할 수 있습니다. 관리만 잘한다면 수십 년 동안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한옥이나 전통 건축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자재입니다.

TIP: 전돌은 장식적 가치뿐 아니라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에너지 효율성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전통 건축뿐 아니라 현대 건축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돌의 KS 규정과 표준 코드

전돌은 점토벽돌(Clay bricks)에 해당하는 자재로, KS 규정에 의해 품질과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전돌은 단순히 미관적인 자재가 아니라, 국가에서 제정한 KS 규격을 통해 성능과 품질이 검증된 자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아래 표는 전돌의 KS 규정과 적용 범위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 분 현 황
점토벽돌 표준명 : 점토벽돌 (Clay bricks)에 준한 규정 적용
KS Code KS L 4201 (2022년 개정)
적용범위 점토, 고령토 등을 원료로 하여 혼련, 성형, 건조, 소성시켜 만든 벽돌
종 류 점토 1종 벽돌 + 유약처리, 점토 2종 벽돌 + 유약처리

위 규정에 따라 전돌은 점토와 고령토를 주원료로 하며, 혼련·성형·건조·소성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됩니다. 또한, 표면에 유약처리를 함으로써 내구성과 외관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통 건축물뿐만 아니라 현대 건축에서도 사용 범위를 확장시키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전돌 규격표와 사이즈 안내

전돌은 제조사별로 다양한 규격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자재 구매 시 반드시 Type사이즈를 별도로 확인한 후 구매해야 합니다. 아래 표는 대표적인 전돌 규격을 정리한 내용으로, 한옥 및 전통 건축, 담장, 외벽 시공 시 참고할 수 있습니다.

품목명 규격 (너비 x 두께 x 높이) 비 고
전돌 190 x 90 x 57 mm * 전돌은 제조사별 다양한 규격으로 생산하고 있어 자재 구매 시 Type과 사이즈를 별도로 확인한 후 구매하셔야 합니다
205 x 90 x 75 mm
230 x 70 x 70 mm
230 x 90 x 57 mm
230 x 90 x 90 mm
230 x 114 x 60 mm
230 x 120 x 70 mm
240 x 72 x 57 mm
240 x 90 x 57 mm
240 x 110 x 55 mm
240 x 115 x 50 mm
280 x 70 x 25 mm
290 x 90 x 48 mm
290 x 90 x 50 mm
350 x 90 x 48 mm
350 x 90 x 50 mm
400 x 90 x 48 mm
400 x 95 x 50 mm
500 x 40 x 20 mm
500 x 95 x 20 mm

전돌 규격은 건축 목적, 디자인, 구조적 필요성에 따라 선택됩니다. 특히 한옥 담장이나 전통 건축물 외벽 시공 시, 전돌의 크기와 비율은 건축물의 안정성과 미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규격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전돌 #전통벽돌 #한식벽돌 #한옥자재 #전통건축 #붉은벽돌 #한옥담장 #문화재복원 #전돌시공 #한옥스타일 #전통과현대 #건축자재

📝견적 받아보기

clip첨부파일

전돌.xlsx0.01MB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