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DOSO마켓작성일: 2024-08-05 (마지막 수정일 : 2025-08-19)

배관용 탄소강관이란? 정의, 규격, 종류, 제조공정, KS와 BS 제품 차이까지 한눈에

배관용 탄소강관은

배관용 탄소강관

배관용 탄소강관은 일반적으로 사용 압력이 낮은 물, 가스, 기름, 공기(AIR), 증기 등 유체나 기체의 배관에 사용되는 강관입니다.

배관용 탄소강관 규격

 

  • KS 규정: KS D 3507 → 강종은 SPP로 규정
  • JIS 규정: JIS G 3452 → 강종은 SGP로 규정

 

표면 처리에 따른 구분

배관용 탄소강관은 표면 처리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흑관: 방청 도장 처리만 한 제품
  • 백관: 아연도금 표면처리를 한 제품

최근에는 부식방지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주로 아연도금된 백관이 널리 사용되는 추세입니다.

제조 공정

탄소강관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코일재나 후판을 일정 폭으로 절단
  2. 파이프밴더 또는 로타리밴더로 원하는 굴곡으로 성형
  3. 전기저항용접(ERW)으로 접합
  4. 용접부위를 연마하여 마감

배관용 탄소강관

시중에서의 명칭 및 제품 구분

시중에서는 주로 "KS파이프" 또는 "배관용 파이프"라 부릅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KS 제품: KS 규격에 맞춰 생산된 정식 제품
  • BS 제품: KS 인증을 받지 못하고 두께를 줄여 생산된 제품

BS 제품은 KS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정부공사 및 공공 프로젝트에서는 반드시 KS 규격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배관용 탄소강관의 일반적인 규격 및 사용 조건

  • 길이: 일반적으로 4M ~ 7M, 시중에서는 6M 규격이 가장 많이 거래
  • 사용 온도: 약 -15℃ ~ 350℃ 범위
  • 내압 조건: 1.2 MPa 미만에서 사용 가능

정리

배관용 탄소강관은 다양한 유체와 기체 배관에 필수적인 자재입니다. 특히 KS 규격 준수 여부와 표면 처리 방식에 따라 사용 환경과 내구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용도와 현장 조건에 맞는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배관용 탄소강관 KS 규정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은 KS 규격을 통해 명확히 정의되어 있으며, 2023년 개정을 통해 최신 기준이 적용되었습니다. 아래 표는 KS D 3507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구 분 현 황
표준명 일반 배관용 탄소강관 (Carbon steel pipes for ordinary piping)
KS Code KS D 3507 (2023년 개정)
적용범위 사용 압력이 비교적 낮은
  • 증기
  • 물 (상수도용은 제외)
  • 기름
  • 가스
  • 공기
등의 배관에 사용하는 탄소 강관
종류 SPP

위와 같이 KS 규격은 배관용 탄소강관의 사용 목적과 적용 환경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수도용은 제외되며, 비교적 저압 환경에서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또한 강종은 SPP로 규정되어 있어, 시중에서 흔히 사용하는 "KS파이프" 기준이 됩니다.

배관용 탄소강관(SPP) 화학 성분 기준

배관용 탄소강관은 강종 SPP로 규정되어 있으며, 각 성분의 함량은 KS 규격에 따라 엄격히 제한됩니다. 아래 표는 SPP 강종의 화학 성분 최대 허용치를 정리한 것입니다.

강종 C Si Mn P S
SPP 0.28 ↓ 0.35 ↓ 0.80 ↓ 0.040 ↓ 0.040 ↓

위 표에서 보는 것처럼 SPP 강종은 탄소(C) 0.28% 이하, 규소(Si) 0.35% 이하, 망간(Mn) 0.80% 이하, 인(P) 0.040% 이하, 황(S) 0.040% 이하의 함량을 가져야 합니다. 이러한 화학 성분 제한은 강관의 기계적 성질과 내구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배관 재료로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배관용 탄소강관(SPP) 기계적 성질

배관용 탄소강관의 강종 SPP는 KS 규격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엄격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은 배관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로 사용됩니다. 아래 표는 SPP 강종의 기계적 성질 기준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강종 항복점/항복강도
(N/mm²)
인장강도
(N/mm²)
연신율 (%)
11호·12호 시험편
(세로 방향)
5호 시험편
(가로 방향)
SPP 200 ↑ 340 ↑ 30 ↑ 25 ↑

 

  • 항복점/항복강도: 최소 200 N/mm² 이상
  • 인장강도: 최소 340 N/mm² 이상
  • 연신율: 세로 방향(11호·12호 시험편)은 30% 이상, 가로 방향(5호 시험편)은 25% 이상
이러한 기계적 성질 기준은 배관의 내구성, 인장력, 변형 저항성을 보장하여 다양한 배관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합니다.

 

배관용 탄소강관(SPP) 제품 현황

배관용 탄소강관은 다양한 사이즈와 규격으로 생산되며, 시중 유통 시 기본 단위와 단위 무게 계산식이 정해져 있습니다. 아래 표는 배관용 원형 파이프의 제품 현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 분 현 황
Size 6A ~ 600A
길이 시중 재고 6m (4m ~ 7m)
포장단위 낱본 단위
단가기준 각 Size별 표준길이(6m)를 기준하여 본당 단가 적용
단위무게 계산식 단위무게(kg/m) = 0.02466 × t × (D - t)

(예) 20A 단위무게 (kg/m)
바깥지름 (D = 27.2mm), 두께 (t = 2.65mm)
W = 0.02466 × 2.65 × (27.2 - 2.65) = 1.60 kg/m

 

  • 사이즈: 최소 6A부터 최대 600A까지 다양하게 제공
  • 길이: 시중 유통은 주로 6m 규격, 일부는 4m~7m 범위
  • 포장 단위: 낱본 단위 거래
  • 단위 무게: 공식 계산식에 따라 두께와 지름을 기준으로 산출
특히 단위 무게 계산식은 설계 및 시공 시 필수적으로 활용되며, 가격 산정 및 운송 비용 책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배관용 탄소강관(SPP) 규격표

배관용 탄소강관은 호칭, 외경, 두께, 허용오차, 그리고 실제 중량에 따라 구분됩니다. KS와 JIS 규격을 기준으로 하며, 아래 표는 각 사이즈별 상세 규격을 정리한 것입니다.

호칭
A
B 외경
(mm)
외경의 허용오차 두께 (mm) 허용두께차 소켓 제외
중량 (kg/m)
테이퍼 나사관 기타관 KS JIS
10 17.3 ±0.5mm 2.35 2.3 + 규정하지 않음
-12.5%
0.866
15 ½ 21.7 ±0.5mm 2.65 2.8 1.25
20 ¾ 27.2 ±0.5mm 2.65 2.8 1.6
25 1 34.0 ±0.5mm 3.25 3.2 2.45
32 42.7 ±0.5mm 3.25 3.5 3.16
40 48.6 ±0.5mm 3.25 3.5 3.63
50 2 60.5 ±0.5mm ±1% 3.65 3.8 5.12
65 76.3 ±0.7mm ±1% 3.65 4.2 6.34
80 3 89.1 ±0.8mm ±1% 4.05 4.2 8.49
90 101.6 ±0.8mm ±1% 4.05 4.2 9.74
100 4 114.3 ±0.8mm ±1% 4.5 4.5 12.2
125 5 139.8 ±0.8mm ±1% 4.85 4.5 16.1
150 6 165.2 ±0.8mm ±1% 4.85 5.0 19.2
200 8 216.3 ±1.0mm ±1% 5.85 5.8 30.4
250 10 267.4 ±1.3mm ±1% 6.4 6.6 41.2
300 12 318.5 ±1.5mm ±1% 7.0 6.9 53.8
350 14 355.6   ±1% 7.6 7.9 65.2
400 16 406.4   ±1% 7.9 7.9 77.6
450 18 457.2   ±1% 7.9 7.9 87.5
500 20 508.0   ±1% 7.9 7.9 97.4
550 22 558.5   ±1% 7.9   107
600 24 609.6   ±1% 7.9   117

 

  • 외경: 사이즈에 따라 17.3mm(10A)부터 609.6mm(600A)까지 다양
  • 두께: KS와 JIS 규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음
  • 허용오차: 소구경은 ±0.5mm ~ ±0.8mm, 대구경은 ±1% 범위
  • 중량: 0.866kg/m (10A)에서 최대 117kg/m (600A)까지
이 규격표는 실제 설계, 구매, 시공 시 참고되는 기준으로 활용되며, KS 규격과 JIS 규격을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강종 "항복점/항복강도 (N/mm2)" "인장강도 (N/mm2)" 연신율 (%) "11호 시험편 12호 시험편" 5호 시험편 세로 방향 가로 방향 SPP 200 ↑ 340 ↑ 30 ↑ 25 ↑

#배관용탄소강관 #KS파이프 #백관 #흑관 #SGP #SPP #건축자재 #배관자재 #강관 #도소마켓

📝견적 받아보기

clip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