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파이프(구조용)란? 정의, 강종별 특징, 용도, 표면처리까지 한눈에 정리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Carbon steel tubes for general structure purposes)은 흔히 “스틸파이프”라고 불리며,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원형파이프(구조용)는 다양한 강종과 규격으로 생산되며, 내구성, 강도, 가공성을 고루 갖춘 자재입니다. 아래에서는 강종별 기호, 기계적 성질, 활용처, 표면처리 방식까지 상세히 정리하였습니다.
원형파이프(구조용)의 강종별 기호와 기계적 성질
구조용 파이프의 강종은 과거 STK로 표기했으나, 현재는 SGT로 변경되었습니다. 항복강도(N/㎟), 인장강도(N/㎟) 수치에 따라 다양한 기호가 있으며, 용도와 설계 조건에 맞춰 선택됩니다.
종래기호 | 변경기호 | ||||
---|---|---|---|---|---|
기호 | 항복강도 (N/㎟) |
인장강도 (N/㎟) |
기호 | 항복강도 (N/㎟) |
인장강도 (N/㎟) |
STK 400 | 235 ↑ | 400 ↑ | SGT 275 | 275 ↑ | 410 ↑ |
STK 490 | 315 ↑ | 490 ↑ | SGT 355 | 355 ↑ | 500 ↑ |
STK 500 | 355 ↑ | 500 ↑ | |||
STK 540 | 390 ↑ | 540 ↑ | SGT 410 | 410 ↑ | 540 ↑ |
STK 590 | 440 ↑ | 590 ↑ | SGT 450 | 450 ↑ | 590 ↑ |
STK 690 | 540 ↑ | 690 ↑ | SGT 550 | 550 ↑ | 690 ↑ |
원형파이프의 주요 특징
-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여줌
- 우수한 용접성과 가공성으로 다양한 구조물과 결합 가능
- 규격: 최소 21.7mm ~ 최대 1,016mm까지 생산
- 단, 바깥지름 318.5mm 이상의 강관은 기초말뚝 및 지면 미끄럼 방지 말뚝에는 사용 불가
- 다양한 형태(원형, 사각)로 제작 가능
원형파이프의 용도
원형파이프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됩니다.
- 토목, 건축 구조물
- 철탑, 발판, 지주
- 지면 미끄럼 방지용 말뚝
- 기초 보강재
- 각종 프레임 구조물
표면처리에 따른 분류
- 흑관 : 가장 일반적인 원형파이프, 가성비가 뛰어남
- 아연도금관(백관) : 내식성이 강화되어 외부 환경에 유리
- 칼라관 : 미관과 내식성을 동시에 고려한 제품
사각파이프는 흑관, 아연도금관, 칼라관 모두 생산되며, 원형파이프는 주로 흑관과 아연도금관으로 제작됩니다.
원형파이프 사용 시 유의사항
- 배관용과 구조용은 품질기준이 다르므로 용도를 명확히 확인 필요
- 구조용으로 사용할 경우 반드시 시험성적서 첨부 요구
- 재고 여부 확인 및 주문 생산 여부 체크 필수
원형파이프(구조용)의 장점 정리
원형파이프는 단순한 강도가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한 내구성과 높은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가공성과 용접성이 뛰어나 구조물 결합이 쉽고, 토목·건축·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자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마무리
원형파이프(구조용)은 강도, 내구성, 경제성을 고루 갖춘 자재로 건설 및 토목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호, 강도, 용도, 표면처리 여부를 꼼꼼히 확인한 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구조용으로 사용할 경우, 반드시 시험성적서 확인과 함께 적합한 강종을 선택해야 합니다.
원형파이프(구조용)의 KS 규정과 표준 정보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Carbon steel tubes for general structure purposes)은 KS 규격에 따라 생산되며,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규정이 존재합니다. 아래 표는 KS D 3566(2023년 개정)에 따른 원형파이프(구조용)의 표준명, 코드, 적용범위, 종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 분 | 현 황 |
---|---|
표준명 |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Carbon steel tubes for general structure purposes) |
KS Code | KS D 3566 (2023년 개정) |
적용범위 | 토목, 건축, 철탑, 발판, 지주, 지면 미끄럼 방지 말뚝, 그밖의 구조물에 사용하는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
종류 | SGT 275, SGT 355, SGT 410, SGT 450, SGT 550 |
위 KS 규정은 원형파이프를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올바르게 선택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입니다. 특히 적용범위가 토목, 건축, 철탑, 발판 등으로 명확히 지정되어 있어, 사용 시 구조적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자는 반드시 KS D 3566 규격을 확인하고, 목적에 맞는 강종(SGT 275 ~ SGT 550)을 선택해야 합니다.
원형파이프(구조용)의 화학 성분 기준
원형파이프(구조용)은 기계적 성질뿐만 아니라 화학 성분 규격도 KS D 3566에 의해 엄격히 관리됩니다. 각 강종별 C(탄소), Si(규소), Mn(망간), P(인), S(황)의 함량 제한은 파이프의 강도와 내구성, 용접성, 가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아래 표는 SGT 275부터 SGT 550까지 강종별 화학 성분 기준을 정리한 것입니다.
강종 | C | Si | Mn | P | S |
---|---|---|---|---|---|
SGT 275 | 0.25 ↓ | - | - | 0.040 ↓ | 0.040 ↓ |
SGT 355 | 0.24 ↓ | 0.40 ↓ | 1.50 ↓ | 0.040 ↓ | 0.040 ↓ |
SGT 410 | 0.28 ↓ | 0.40 ↓ | 1.60 ↓ | 0.040 ↓ | 0.040 ↓ |
SGT 450 | 0.30 ↓ | 0.40 ↓ | 2.00 ↓ | 0.040 ↓ | 0.040 ↓ |
SGT 550 | 0.30 ↓ | 0.40 ↓ | 2.00 ↓ | 0.040 ↓ | 0.040 ↓ |
위 기준에서 볼 수 있듯이, 강종이 높아질수록 탄소(C), 망간(Mn)의 허용치가 증가
원형파이프(구조용)의 기계적 성질 기준
원형파이프(구조용)은 강도와 연신율, 용접부 인장강도 등 기계적 성질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와 더불어 용접 작업 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입니다. 아래 표는 강종별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용접부 인장강도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강종 | 항복점/항복강도 (N/mm²) |
인장강도 (N/mm²) |
연신율 (%) | 용접부 인장강도 (N/mm², 아크용접) |
|
---|---|---|---|---|---|
11호·12호 시험편 (세로 방향) |
5호 시험편 (가로 방향) |
||||
SGT 275 | 275 ↑ | 410 ↑ | 23 ↑ | 18 ↑ | 400 ↑ |
SGT 355 | 355 ↑ | 500 ↑ | 20 ↑ | 16 ↑ | 500 ↑ |
SGT 410 | 410 ↑ | 540 ↑ | 20 ↑ | 16 ↑ | 540 ↑ |
SGT 450 | 450 ↑ | 590 ↑ | 20 ↑ | 16 ↑ | 590 ↑ |
SGT 550 | 550 ↑ | 690 ↑ | 20 ↑ | 16 ↑ | 690 ↑ |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강종이 높아질수록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값이 증가합니다. 연신율은 전반적으로 20% 내외로 유지되며, 이는 강재가 파괴되기 전까지 일정한 변형을 허용함을 의미합니다. 또한 용접부 인장강도 역시 모재의 인장강도와 동일하게 규정되어 있어, 구조물 제작 및 용접 시 일관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원형파이프(구조용)의 제품 현황과 단위무게 계산식
원형파이프(구조용)의 제품 현황은 Size, 길이, 포장단위, 단가기준, 단위무게 계산식으로 구분됩니다. 이는 실제 구매 및 견적 산출 시 중요한 기준이 되며, 특히 단위무게 계산식은 자재비 산정에 직접적으로 활용됩니다. 아래 표는 구조용 원형파이프의 주요 제품 규격과 계산식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 분 | 현 황 |
---|---|
Size | 6A ~ 600A |
길 이 | 시중 재고 6m (4m ~ 7m) |
포장단위 | 낱본 단위 |
단가기준 | 각 Size별 표준길이(6m)를 기준하여 본당 단가 적용 |
단위무게 계산식 | 단위무게(kg/m) = 0.02466 × t × (D - t) (예시) : 76.3Φ × 2.8t 단위무게 (kg/m) 바깥지름 D = 76.3mm, 두께 t = 2.8mm W = 0.02466 × t × (D - t) = 0.02466 × 2.8 × (76.3 - 2.8) = 5.8 kg/m |
위 계산식은 구조용 원형파이프의 무게를 산정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식으로, 실제 견적 산출 시 바깥지름(D)과 두께(t) 값만 알면 단위중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 단계나 자재 발주 단계에서 자주 활용되며, 효율적인 원가 관리와 정확한 견적 산정에 필수적입니다.
원형파이프(구조용) 규격표와 단위중량
원형파이프(구조용)의 규격은 외경, 두께, 단위중량(kg/m)으로 구분되며, 실제 현장에서 사용 시 적합한 강종과 규격을 선택하기 위해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자료입니다. 특히 단위중량은 물량 산출 및 견적 계산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아래 표는 KS 규격에 따른 주요 원형파이프 규격과 단위중량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외경 (mm) | 두께 (mm) | 단위중량 (kg/m) | 외경 (mm) | 두께 (mm) | 단위중량 (kg/m) |
---|---|---|---|---|---|
21.7 | 2.0 | 0.972 | 457.2 | 9.0 | 99.5 |
27.2 | 2.0 | 1.24 | 9.5 | 105 | |
2.3 | 1.41 | 12.0 | 132 | ||
34.0 | 2.3 | 1.8 | 12.7 | 139 | |
42.7 | 2.3 | 2.29 | 16.0 | 174 | |
2.5 | 2.48 | 19.0 | 205 | ||
48.6 | 2.3 | 2.63 | 500.0 | 9.0 | 109 |
2.5 | 2.84 | 12.0 | 144 | ||
2.8 | 3.16 | 14.0 | 168 | ||
3.2 | 3.58 | 508.0 | 7.9 | 97.4 | |
60.5 | 2.3 | 3.3 | 9.0 | 111 | |
3.2 | 4.52 | 9.5 | 117 | ||
4.0 | 5.57 | 12.0 | 147 | ||
76.3 | 2.8 | 5.08 | 12.7 | 155 | |
3.2 | 5.77 | 14.0 | 171 | ||
4.0 | 7.13 | 16.0 | 194 | ||
89.1 | 2.8 | 5.96 | 19.0 | 229 | |
3.2 | 6.78 | 22.0 | 264 | ||
101.6 | 3.2 | 7.76 | 558.8 | 9.0 | 122 |
4.0 | 9.63 | 12.0 | 162 | ||
5.0 | 11.9 | 16.0 | 214 | ||
114.3 | 3.2 | 8.77 | 19.0 | 253 | |
3.5 | 9.58 | 22.0 | 291 | ||
4.5 | 12.2 | 600.0 | 9.0 | 131 | |
139.8 | 3.6 | 12.1 | 12.0 | 174 | |
4.0 | 13.4 | 14.0 | 202 | ||
4.5 | 15 | 16.0 | 230 | ||
6.0 | 19.8 | 609.6 | 9.0 | 133 | |
165.2 | 4.5 | 17.8 | 9.5 | 141 | |
5.0 | 19.8 | 12.0 | 177 | ||
6.0 | 23.6 | 12.7 | 187 | ||
7.1 | 27.7 | 14.0 | 206 | ||
190.7 | 4.5 | 20.7 | 16.0 | 234 | |
5.3 | 24.2 | 19.0 | 277 | ||
6.0 | 27.3 | 22.0 | 319 | ||
7.0 | 31.7 | 700.0 | 9.0 | 153 | |
8.2 | 36.9 | 12.0 | 204 | ||
216.3 | 4.5 | 23.5 | 14.0 | 237 | |
5.8 | 30.1 | 16.0 | 270 | ||
6.0 | 31.1 | 711.2 | 9.0 | 156 | |
7.0 | 36.1 | 12.0 | 207 | ||
8.0 | 41.1 | 14.0 | 241 | ||
8.2 | 42.1 | 16.0 | 274 | ||
267.4 | 6.0 | 38.7 | 19.0 | 324 | |
6.6 | 42.4 | 22.0 | 374 | ||
7.0 | 45 | 812.8 | 9.0 | 178 | |
8.0 | 51.2 | 12.0 | 237 | ||
9.0 | 57.4 | 14.0 | 276 | ||
9.3 | 59.2 | 16.0 | 314 | ||
318.5 | 6.0 | 46.2 | 19.0 | 372 | |
6.9 | 53 | 22.0 | 429 | ||
8.0 | 61.3 | 914.4 | 12.0 | 267 | |
9.0 | 68.7 | 14.0 | 311 | ||
10.3 | 78.3 | 16.0 | 354 | ||
355.6 | 6.4 | 55.1 | 19.0 | 420 | |
7.9 | 67.7 | 22.0 | 484 | ||
9.0 | 76.9 | 1016.0 | 12.0 | 297 | |
9.5 | 81.1 | 14.0 | 346 | ||
12.0 | 102 | 16.0 | 395 | ||
12.7 | 107 | 19.0 | 467 | ||
406.4 | 7.9 | 77.6 | 22.0 | 539 | |
9.0 | 88.2 | ||||
9.5 | 93 | ||||
12.0 | 117 | ||||
12.7 | 123 | ||||
16.0 | 154 | ||||
19.0 | 182 |
위 규격표를 통해 외경, 두께, 단위중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구조 설계와 자재 발주 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됩니다. 단위중량(kg/m)은 구조물의 하중계산 및 견적 산정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KS 규격에 맞춰 생산되기 때문에 품질과 안정성이 보장됩니다.
#원형파이프 #구조용파이프 #탄소강관 #STK #SGT #흑관 #아연도금관 #칼라관 #건축자재 #철강재